카테고리 없음

반도체 산업 제조-서비스 융합실태조사

까치산망구 2021. 9. 2. 21:30
반응형

1. 산업 개요 및 표본자료의 구성

본 조사에서 언급하는 반도체 산업을 반도체 제조업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전자 집적회로 제조업,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소자 제조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산업 규모를 살펴보면, 2012년 기준 생산액 64조 원, 부가가치 40조 원, 국내 시장규모 136,937백만 달러, 종사자 수 106,862명이며, 사업체 수는 361 기업입니다. 무역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 수출액 57,065백만 달러, 수입액 34,709백만 달러로 무역 수지는 22,356백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내 반도체 산업은 2013년 기준 제조업 수출 중 두 번째로 가장 큰 비중(10.2%)을 차지합니다. 모바일 기기 사용 확대로 전 세계적 반도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 기타 집적회로 반도체 등의 선전으로 전년 대비 수출액이 증가했습니다. 총 40개 기업의 표본을 통하여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이 중에서 코스닥 상장 기업은 2.5%, 나머지 97.5%는 비상장 기업에 속합니다.

2. 실태조사를 통한 특성

반도체 산업은 서비스화 투입 지수가 121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경영 및 관리, 제품 생산에서는 산업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반면, 제품 기획과 판매 관리에서는 가장 높은 지수를 보입니다. 서비스화 성과 지수 또한 121로 높은 수준의 성과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략, 재무성과 측면에서는 산업 평균에 근접하나, 운영성과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영 및 관리 측면에서 살펴보면, 외국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경영기획 및 컨설팅 업무가 매우 취약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세무, 회계의 아웃소싱 시행 여부는 65.%로 나타났습니다. 제품 기획 및 연구개발 업무 측면에서 살펴보면, 외국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연구 개발 업무가 취약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아웃소싱 시행 여부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지만, 상대적으로 중기업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습니다. 제품 생산공정 업무 측면에서 살펴보면, 외국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품질, 인증관리와 생산기술, 공정관리 업무가 취약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생산기술, 공정관리의 아웃소싱 시행 여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제품 판매, 유통 및 사후관리 업무 측면에서 살펴보면, 외국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제품 A/S업무가 취약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아웃소싱 시행 여부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