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급여한약의 66개 약제분석(32~36)

까치산망구 2021. 9. 8. 23:11
반응형

32. 망초

효능: 사열통변, 윤조연견, 청화소종

주치: 대변조결, 실열변지, 유옹, 장옹종통, 적체복통, 치창종통

주석

  • 사열통변: 열을 사하고 변을 통하게 하는 것
  • 윤조연견: 건조한 것을 윤택하게 하고 굳은 것을 무르게 하는 것
  • 청화소종: 화를 식혀주고 부종을 없애는 것
  • 대변조결: 대변이 건조하고 뭉쳐있는 것
  • 실열변비: 열이 성하여 변비가 생기는 증상
  • 유옹: 유방에 발생한 옹종농양
  • 장옹종통: 장에 옹양이 생겨 붓고 아픈 것
  • 적체복통: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위에 머물러 있음으로 인한 복통
  • 치장종통: 치질으로 인해 붓고 아픈 병증

 

33. 맥아

효능: 건비개위, 퇴유소창, 행기소식

주치: 부녀단유, 비허식소, 식적불소, 완복창만, 유방창통, 유즙울적

주석

  • 건비개위: 비장과 위장을 건강하게 하여 식욕을 돋우는 것
  • 퇴유소창: 젖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하고 정체되어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가라앉히는 것
  • 행기소식: 기를 원활이 소통하고 식적을 없애는 것
  • 식적: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오랫동안 정체됨으로써 적증이 형성되는 것
  • 부녀단유:여성의 유즙 분비가 멈춘 것
  • 비허식소: 비장이 허하여 식사량이 적어진 것
  • 식적불소: 식적으로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증상
  • 완복창만: 소화가 안되거나 가스가 차는 등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 되어, 윗배가 부르고 빵빵해지는 것
  • 유방창통: 월경 전 혹은 월경이 막 이르렀을 때 유방이 팽창하면서 흉협(가슴, 늑골) 혹은 유두가 딴딴해지고 가려우며 아픈 것
  • 유즙울적: 젖이 쌓이고 막혀서 나오지 않는 현상

 

34. 목단피

효능: 청열양혈, 활혈화어

주치: 온독발반, 토혈뉵혈, 야열조량, 무한골증, 경폐통경, 질타상통, 옹종창독

주석

  • 청열양혈: 열을 식혀주고 피의 열을 식혀주는 것
  • 활혈화어: 혈액의 운행을 원활히 하고 어혈을 풀어주는 것
  • 온독발반: 온독으로 살갗에 출현반흔이 생기는 것
  • 온독: 더위로 생기는 피부발진
  • 토혈뉵혈: 밤에는 열이 나고 새벽에는 서늘함
  • 무한골증: 땀이 나지 않고 뼛 속이 후끈후끈 달아오르는 것
  • 경폐통경: 월경이 막히고 월경통이 있는 증상
  • 질타상통: 넘어지고 맞아서 손상을 입은 것
  • 옹종창독: 종기를 가리키는 것

35. 박하

효능: 선산풍열, 청두목, 투진

주치: 구창, 두통, 마진, 목적, 비연, 풍열감모, 풍온초기, 풍진, 후비, 흉협창민

주석

  • 선산풍열: 바람과 열을 펴서 흩트리는 것
  • 청두목: 머리와 눈의 열을 식혀 없애는 것
  • 투지: 발진의 배출을 순조롭게 하여 질병이 전이하는 것을 막는 방법
  • 구창: 입 안이 허는 것
  •  두통: 머리가 아픈 것
  • 마진: 홍역을 말하는 것
  • 목적: 눈이 붉게 충혈된 것
  • 비연: 코에서 끈적하고 더러운 콧물이 흘러나오는 것
  • 풍열감모: 바람과 열에 의한 감기
  • 풍온초기: 바람과 온병 증상의 초기 상태를 말하는 것
  • 온병: 외부의 열을 원인으로 하는 증상으로 열이 편중되어 쉽게 진액과 음을 손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열병의 한 유형
  • 풍진: 외부의 바람을 원인으로 생긴 발진성 전염병으로 피부에 좁쌀알 크기의 연한 붉은색 발진이 돋는 것
  • 후비: 목이 메어 숨을 못 쉬고 삼키지도 못하는 병
  • 흉협창민: 가슴과 옆구리가 빵빵하면서 답답한 것

36. 반하

효능: 소비산결, 조습강역, 화담지구

주치: 구토반위, 담궐두통, 담다천해, 담음현계, 매핵기증, 풍담현훈, 흉환비민

주석

  • 소비산결: 결리는 것을 없애고 맺힌 것을 흩어지게 하는 것
  • 조습강역: 습함을 말리고 치솟은 것을 내리는 것
  • 화담지구: 담을 삭히고 구토를 멎게 하는 것
  • 구토반위: 구토를 하면서 구역질이 나는 것
  • 담궐두통: 담이 성하여 기가 막힘으로써 팔다리가 차고 머리가 아픈 것
  • 담다천해: 가래가 많으면서 기침을 하는 것
  • 담음현계: 가래가 많으면서 기침을 하는 것
  • 매핵기증: 인후에 이물감이 있어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아 가슴이 더부룩하고 답답한 증상
  • 풍담현훈: 바람과 담이 몰려서 생기는 현훈을 뜻하는 것
  • 흉완비민: 식도 앞쪽의 가슴 부위와 위 부위가 답답하고 불쾌한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