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제조-서비스 융합의 국내, 해외 연구 비교

까치산망구 2021. 8. 23. 23:00
반응형

제조-서비스 융합의 국내, 해외 연구 비교

제조-서비스 융합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미미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마다 결과가 상이한 차이가 존재하여 일관성 있는 체계적인 통계 조사 방안 구축이 필요합니다.

 

  • Neely의 연구(2009)

글로벌 상장 기업 및 비상장 기업에 대한 OSIRI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9년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제조-서비스 융합의 실태 분석을 시행하고 이후 2011년 한국을 포함하여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의 조사대상 선정 기준으로부터 10,078개 기업을 선정하여 23개국으로 분류하고 조사하였습니다

  1. 제조기업의 수
  2. 제조기업 중 100인 이상의 직원을 보유한 기업의 수
  3. 비즈니스 설명이 없는 기업은 제외
  4. 파산 기업 제외
  5. 70개 이하의 기업만 존재하는 국가는 제외

한국의 경우 2011년 기준으로 제조-서비스 융합의 수준이 약 3.94%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연구(STEPI, 2011)

Neely의 연구방법을 그대로 국내 제조기업에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나, 제조-서비스 융합의 현황은 17.7%로 Neely의 연구와 상이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국내와 해외 연구의 시사점

궁극적으로 제조-서비스 융합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보다 정교하고 일관성 있는 조사 분석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put과 Output을 통한 지표 개발을 통해 일관성 있는 조사 분석 방법을 개발하고, 이와는 별개로 Neely와의 제조-서비스 융합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제조-서비스 융합의 수준을 '수익 발생' 측면으로 측정하여 조사하기로 합니다.

기존의 Neely 및 STEPI의 연구는 OSIRIS DB를 토대로 제조기업의 비즈니스 설명으로 제조-서비스 융합의 정도를 확인하였으나, 연구 결과 일관성이 없으며 정확하지 않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기업을 13개 업종으로 분류하여 Input과 Output을 통해 제조-서비스 융합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이와는 별개로 제조와 연관되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을 4개로 구분하여 수익 발생 여부 측면에서의 제조-서비스 융합을 Neely의 연구와 비교하였습니다. 제조와 연관되어 수익창출이 가능한 서비스 영역을 아래와 같이 4 가지로 분류하였습니다.

  • 기술이전, 이와 관련한 용역 제공
  • 제품 사후 유지 보수
  • 제품 판매 관련 할부, 리스 등의 금융서비스
  • 기타

위에서 제시된 서비스 영역에서 수익창출 여부를 파악하여 제조-서비스 융합의 정도(서비스화 기업의 비율)에 대한 결과를 제시합니다.본 조사에서는 제조와 연결된 4가지 서비스 영역에서 매출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융합의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국내의 서비스화를 실현한 제조기업의 비율은 15.20%로 나타났습니다. Neely와 STEPI의 연구는 OSIRIS DB의 비즈니스 설명을 토대로 서비스 영역을 12가지로 구분하여 서비스화 기업의 비율을 확인하였습니다. 23개국을 대상으로 서비스화된 제조기업의 비율은 25.92%로 제시되었고, 국내의 제조-서비스 융합의 비율은 2.9%로 파악했습니다. 또, STEPI는 Neely와 같은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국내의 제조-서비스 융합의 수준을 17.70%로 파악하였습니다.

 

Neely, STEPI, 본 조사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듯이 국내의 제조기업의 서비스화 수준은 선진국과 비교하여 매우 미미한 수준입니다. 선진국의 융합 수준이 높은 이유와 사례를 파악하여 국내의 서비스화 수준을 높이고 제조-서비스 융합의 방향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Neely의 연구와 STEPI의 연구는 OSIRIS DB를 토대로 기업의 비즈니스 설명을 확인하여 제조와 관련한 서비스 영역을 1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대한 서비스화 비율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결과 디자인과 개발 서비스, 시스템 및 솔루션 서비스, 소매 및 유통서비스, 유지보수 및 지원 서비스의 순서로 영역별 서비스화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제조와 연관되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을 4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서비스 영역에서 매출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각 영역에 대한 서비스화 비율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결과 제품 사후 유지보수 영역에 대하여 가장 서비스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제조와 연관되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화의 수준을 제시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Neely가 제시한 12가지 서비스 영역 또는 매출 발생 가능성이 있는 보다 더 다양한 서비스 영역을 정의하여 파악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업종에 따라 표본 수에 차이가 있지만, 업종 내에서 제조-서비스 융합이 가장 높은 산업은 가구 업종이며, 가전, 의료기기, 일반기계, 조선, 반도체의 순서로 다른 산업과 비교하여 제조관련 서비스 영역에서의 매출 발생에 따른 융합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체 4,717개의 제조업체를 토대로 분석하여 전체 산업에서 제조-서비스 융합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기타제조에서 제조 관련 서비스 매출액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3개의 제조업종 모두 제품 사후 유지 보수 서비스 영역에서 가장 많은 서비스 매출액이 발생하였으며, 기술 이전 및 관련 용역 제공 서비스와 할부 리스 등의 금융 서비스에서의 매출액 발생비율, 즉 서비스화 수준은 산업별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은 다른 산업과 비교하여 금융 서비스보다 기술 이전 서비스에서 더 많은 서비스 매출이 발생하여, 이 영역의 서비스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