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조사의 개요와 방법

까치산망구 2021. 8. 24. 00:20
반응형

조사 개요

조사 배경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의 성장 둔화 및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경제의 서비스화 및 지식 자본화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국내 중 제조업의 경쟁우위 확보 및 지식 집약적 서비스 기업 육성을 위해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파악 및 정책방향 규명이 필요하여 조사를 설계하였습니다.

 

본 조사는 1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제조업), 2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서비스업), 3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심층 분석)를 통하여 다음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 제조업, 서비스업을 대상으로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를 파악

  • 1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제조업)에서는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 일반현황, 기업 서비스 활동 비중, 외국기업 대비 취약한 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필요서비스, 기대성과 및 애로요인 조사
  • 2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서비스업)에서는 서비스업에 속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고객기업이나 장비 조달 기업인 제조기업들과의 협력활동을 조사하는 한편, 서비스 활동에 요구되는 제품 및 장비에 대한 외국 기업 대비 취약한 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필요서비스, 기대성과 및 애로요인 조사
  • 3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심층 분석)에서는 국내 시장환경, 사업 속성, 경영자의 인식과 태도, 전략적 동기, 제조-서비스 융합과 보완성 및 재무적 성과 조사

조사의 정의

1차 조사

1차 조사에서는 제조-서비스 융합을 제조기업이 경쟁력 향상 및 고객 만족을 위하여 서비스를 추가 및 확대하는 전략적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인풋 측면과 아웃풋 측면에서 제조-서비스 융합 지수를 개발하여 실태를 파악하였습니다.

1차 조사에서 나타나는 제조-서비스 융합지수의 구성요소는 제조와 관련한 서비스 기능 영역을 기업경영 및 관리, 제품 기획 및 연구개발(Before Production), 제품 생산공정(Production), 판매 유통 및 사후관리(After Production)의 4가지로 구분하여 인풋 측면과 성과로 나타나는 아웃풋 측면에서의 서비스 융합 지수를 개발 및 측정하여 제조-서비스 융합의 실태를 파악했습니다.

추가적으로 제조 관련 서비스 기능별 아웃소싱 여부, 외국기업 대비 취약 업무와 애로요인을 파악하여 제조-서비스 융합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정부 지원 방향을 모색하였습니다.

 

2차 조사

제조-서비스 융합에 대하여 서비스 기업이 경쟁력 향상 및 고객만족을 위하여 일어지는 제조기업과의 협력활동 및 제품 및 장비 조달 시에 발생하는 해외 의존도를 파악하였습니다. 2차 조사는 서비스업에 속한 4개 산업(방송통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디자인, 엔지니어링)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2회에 걸쳐 조사하였습니다.

  • 1회 조사(303개 기업) : 서비스 활동에 필요한 제조업의 수요조사 측면에서의 조사

최근 3년간 총매출액 평균과 서비스 관련 인력 변화를 서비스 인력 변화 증감 지수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또 총 매출액 대비 R&D 및 아웃소싱 비중을 주거래 고객 유형, 사업분야, 인력 규모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주력 서비스 관련 제품의 국내/외 조달 비중과 장비 시장 성숙도를 시장 성숙 지수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서비스 제품 및 장비 조달 시 중요도, 해외 구매 및 조달의 이유, 해외 조달 문제점을 파악하였습니다. 사업분야별, 인력 규모별로 제조기업과의 협력활동 여부를 협력활동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업분야별 제조기업과 협력활동 시 어려움을 조사하였습니다.

  • 2회 조사 (101개 기업) : 제조업을 지원하는 지식 서비스 활용 측면에서의 조사

3년 전 대비 제조기업과의 협력활동(고객기업의 경영 및 관리 활동, 제품 기획 및 연구개발 활동, 제품 생산활동, 제품 판매 및 사후 관리 활동) 변화를 협력 증감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습니다. 그리고 제조기업과 협력활동 시 어려움 및 협력활동 강화를 위한 정부에의 희망사항을 조사하였습니다.

 

3차 조사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제조-서비스 융합 측정을 위한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서비스 매출액이 달성된 기업군과 서비스 기능별 아웃소싱이 활발한 기업군을 중심으로 3차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습니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제조-서비스 융합에서의 고려되는 환경적 요인과 역량적 요인, 그리고 동기(지향성) 요인을 파악하여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제조-서비스 융합을 위해서 기업에게 요구되는 요인을 파악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외국기업 대비 국내 중소기업 서비스 기능 관련 활동의 취약성 원인을 3차 조사에서 경영기획, 연구개발, 품질/인증관리, 제품 A/S, 판매/영업의 5가지 부문을 중심으로 심층 조사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