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1

섬유 산업 제조-서비스 융합실태조사

1. 산업 개요 및 표본 자료의 구성 본 조사에서 언급하는 섬유 산업은 섬유 제품 제조업(의복 제외)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방적 및 가공사 제조업, 직물 직조업, 직물제품 제조업, 편조원단 제조업, 편조 제품 제조업, 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 카펫, 마루 덮개 및 유사제품 제조업, 끈, 로프, 망 및 끈 가공품 제조업, 그 외 기타 섬유 제품 제조업을 포합하고 있습니다. 산업 규모를 살펴보면, 2012년 기준 생산액 27조 원, 부가가치 8조 원, 국내 시장규모 7,402백만 달러, 종사자 수 98,439명이며, 사업체 수는 3,229 기업입니다. 무역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 수출액 13,816백만 달러, 수입액 5,353백만 달러로 무역 수지는 8,462 백만 달러를 기록하고 ..

카테고리 없음 2021.09.01

석유화학 산업 제조-서비스 융합실태조사

1. 산업 개요 및 표본자료의 구성 본 조사에서 언급하는 석유화학 산업은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코크스 및 연탄 제조업, 원유 정제 처리업, 석유 정제물 재처리업, 기초 유기 화학물질 제조업, 기초 무기화학물질 제조업, 무기안료, 염료, 유연제 및 기타 착색제 제조업, 비료 및 질소화합물 제조업, 합성고무 및 ㅍㄹ라스틱 물질 제조업, 살충제 및 기타 농약 제조업, 잉크, 페인트, 코팅제 및 유사제품 제조업, 세제, 화장품 및 광택제 제조업, 그 외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화학섬유 제조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산업 규모를 살펴보면 2012년 기준 생산액 121조 원, 부가가치 29조 원, 국내 시장규모 106,943백만 달러, 종..

카테고리 없음 2021.08.31

금속산업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조사

1. 산업 개요 및 표본자료의 구성 본 조사에서 언급하는 금속 산업은 1차 금속 제조업(중분류 코드: 24)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제철업, 제강업, 합금철 제조업, 기타 제철 제강업, 열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 냉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 철강선 제조업, 주철관 제조업, 강관 제조업,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처리 강재 제조업, 그 외 기타 1차 철강 제조업, 동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알루미늄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기타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동 압연, 압출 및 연신 제품 제조업,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 제품 제조업, 기타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 제품 제조업, 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 선철주물 주조업, 강주물 주조업, 알루미늄 주물 주조업, 동..

카테고리 없음 2021.08.31

일반기계 산업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조사

1. 산업 개요 및 표본자료의 구성 본 조사에서 언급하는 일반기계 산업은 일반 목적용 기계 제조업(소분류 코드: 291)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내연기관 제조업(29111), 기타 기관 및 터빈 제조업(29119), 유압기기 제조업(29120), 액체 펌프 제조업(29131), 기체 펌프 및 압축기 제조업(29132), 탭, 밸브 및 유사장치 제조업(29133), 볼베어링 및 롤러 베어링 제조업(29141), 기어 및 동력 전달장치 제조업(29142), 산업용 오분, 노 및 노용 버너 제조업(29150), 산업용 트럭 및 적재기 제조업(29161), 승강기 제조업(29162), 컨베이어장치 제조업(29163), 기타 물품 취급장비 제조업(29169), 산업용 냉장 및 냉동 장비 제조업(29171), 공기조화..

카테고리 없음 2021.08.31

조선 산업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조사

1. 산업 개요 및 표본자료의 구성 본 조사에서 언급하는 조선 사업은 선박 및 보트 건조업(소분류 코드: 311)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강선 건조업(31111), 합성수지선 건조업(31112), 비철금속 선박 및 기타 항해용 선박 건조업(31113), 선박 구성 부분품 제조업(31114), 기타 선박 건조업(31119), 오락 및 스포츠용 보트 건조업(31120)을 포합하고 있습니다. 산업 규모를 살펴보면, 2012년 기준 생산액 66조 원, 부가가치 18조 원, 국내 시장규모 35,960(백만 달러), 종사자수 131,891명이며, 사업체 수는 1,275개 기업입니다. 무역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 수출액 35,869(백만 달러), 수입액 1,693(백만 달러)으로 무역 수지는 34,176(백만 ..

카테고리 없음 2021.08.30

자동차산업 제조-서비스 융합 산업별 실태조사

1. 산업 개요 및 표본자료의 구성 본 조사에서 언급하는 자동차 산업은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중분류 코드: 30)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자동차용 엔진 제조업(30110), 승용차 및 기타 여객용 자동차 제조업(30121), 화물자동차 및 특수목적용 자동차 제조업(30122), 차체 및 특장차 제조업(30201), 트레일러 및 세미 트레일러 제조업(30202), 운송용 컨테이너 제조업(30203), 자동차 엔진용 부품 제조업(30310), 자동차 차체용 부품 제조업(30320), 자동차용 동력 전달장치 제조업(30391), 자동차용 전기장치 제조업(30392), 그 외 기타 자동차 부품 제조업(30399)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산업 규모를 살펴보면, 2012년 기준 생산액 175조 원, 부가가치액 ..

카테고리 없음 2021.08.30

제조업의 제조-서비스 융합 심층 분석

조사개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제조-서비스 융합 측정을 위한 1차 조사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서비스 매출액이 달성된 기업군과 서비스 기능별 아웃소싱이 활발한 기업군을 중심으로 3차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습니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설문 문항을 중심으로 통계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조사연구를 기반으로 제조-서비스 융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합니다. 외국기업 대비 국내 중소기업 서비스 기능관련 활동의 취약성 원인을 3차 조사에서 5가지 부문을 중심으로 심층 조사하였습니다. 연구방법 1. 잠재 독립변수의 구성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제조-서비스 융합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독립적인 잠재변수를 설정하였습니다. 독립변수들은 경영환경 기업의 전략적 포커스, 조직역량, 제조-서비스 상호..

이야기 2021.08.24

제조업의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조사 - 서비스화 성과지수 분석

서비스화 성과지수의 특징 우리나라 서비스화 성과지수는 119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서비스화에 따른 성과가 어느 정도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화를 통하여 재무성과를 나타내는 비용과 재무 측면에서 기대치보다 낮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낮은 재무성과를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평균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산업은 자동차와 섬유, 의료기기와 가구, 정보통신기기와 석유화학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또한, 낮게 나타나는 산업으로는 조선 산업이며, 그다음으로는 금속과 디스플레이 산업을 꼽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운영성과는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특별히 서비스화를 통하여 품질과 유연성에 대한 성과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

이야기 2021.08.24

제조업의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조사 - 서비스화 투입지수 분석

조사 개요 제조업 중심의 제조-서비스 융합 측정을 위한 설문지를 설계하여, 제조 서비스 융합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습니다. 제조-서비스 융합의 대상이 되는 기업의 산업적 특징과 융합의 성과(진척도 등) 및 기업 성과를 파악하였습니다. 기업 경영 및 관리, 제품 기획 및 연구개발, 제품 생산공정, 제품 판매/유통 및 사후관리 영역의 각 활동을 사업군, 기업의 규모, 거래 고객 유형, 그리고 제품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습니다. 조사방법 기업 경영 및 관리, 제품 기획 및 연구개발, 제품 생산공정, 제품 판매/유통 및 사후관리 영역의 각 활동을 서비스 투입 지수로 변환하였습니다. 기업 경영 및 관리, 제품 기획 및 연구개발, 제품 생산공정, 제품 판매/유통 및 사후관리 영역의 각 활동..

이야기 2021.08.24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조사의 개요와 방법

조사 개요 조사 배경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의 성장 둔화 및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경제의 서비스화 및 지식 자본화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국내 중 제조업의 경쟁우위 확보 및 지식 집약적 서비스 기업 육성을 위해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파악 및 정책방향 규명이 필요하여 조사를 설계하였습니다. 본 조사는 1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제조업), 2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서비스업), 3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심층 분석)를 통하여 다음을 조사하고자 합니다.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 제조업, 서비스업을 대상으로 제조-서비스 융합 실태를 파악 1차 지식산업 실태조사(제조업)에서는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 일반현황, 기업 서비스 활동 비중, 외국기업 대비 취약..

이야기 2021.08.24